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은행,네이버페이 설치 사진

    지금까지 놓치고 있던 국세 환급금, 고용·산재보험료 과납금, 자원봉사 실적 조회까지! 이제 복잡한 공공앱 없이도 '은행앱'과 '네이버페이'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 번의 클릭으로 나의 숨은 혜택을 찾아보세요!

    지금 바로 민간앱에서 확인해 보세요. 생각보다 많은 금액이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을지 모릅니다.

    더 이상 복잡하게 로그인할 필요도 없습니다. 자주 쓰는 앱으로 손쉽게 해결하세요.

     

     

     

    국세 미수령 환급금, 이제 은행앱과 네이버페이로 간편하게

     

    국세청에서 환급이 결정되었지만 계좌 오류나 미등록 등으로 받지 못한 금액, 알고 계셨나요? 이제 KB스타뱅킹, i-ONE Bank, 신한SOL뱅크, 네이버페이 등을 통해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숨은 돈이 있다면 즉시 계좌로 입금 신청도 가능해졌습니다.



    고용·산재보험료 과오납도 앱으로 환급 신청

    입·퇴사, 자격 변동, 착오 납부 등으로 인해 발생한 고용·산재보험료 과납금도 민간 앱을 통해 환급 신청이 가능합니다. 특히 KB스타뱅킹, 네이버페이, 우리WON뱅킹에서는 바로 환급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신청도 몇 번의 클릭이면 끝납니다.

     



    자원봉사 실적도 통합 관리 시대!

     

    그동안 1365자원봉사, e청소년(DOVOL), 사회복지자원봉사(VMS)로 나뉘어 있던 봉사 시스템이 통합되었습니다. 삼성월렛, 우리WON지갑, 하나은행 아이부자 앱 등에서 자원봉사 신청부터 실적 조회까지 원스톱으로 확인할 수 있어 더 편리해졌습니다.

     



    앱별 제공 서비스 한눈에 보기

    민간 앱 제공 서비스 특징
    KB스타뱅킹 국세 미환급금, 고용산재보험료 환급 스타포인트 지급 이벤트 운영
    신한SOL뱅크 숨은환급금 통합 조회 휴면예금+국세 통합 서비스
    네이버페이 환급금 2종 통합 서비스 개인사업자 중심 MyBiz 기능 제공
    우리WON뱅킹 자원봉사 신청 및 조회 맞춤형 봉사활동 추천 기능
    삼성월렛 자원봉사 서비스 모바일 학생증과 연계
    하나 아이부자 자원봉사 실시간 조회 랭킹 시스템 제공

     

    공공서비스, 이제 민간 플랫폼에서도 손쉽게

     

    행정안전부는 이처럼 국민의 일상 속에서 더욱 가까운 방식으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민간앱 개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KTX 예매, 자동차 검사 예약, 고향사랑기부금 납부 등 다양한 서비스가 이미 제공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수는 늘어날 예정입니다.

     

    Q&A



    Q1. 환급금 조회는 무료인가요?

     

    네, 모든 민간앱에서 제공하는 국세 및 보험료 환급금 조회는 무료입니다.



    Q2. 환급 신청은 앱에서 바로 가능한가요?

     

    네, 환급금이 확인되면 해당 앱에서 직접 계좌 등록 후 환급 신청이 가능합니다.



    Q3. 자원봉사 실적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삼성월렛, 우리은행 WON지갑, 하나은행 아이부자 앱 등에서 확인 및 신청이 가능합니다.



    Q4. 모든 은행앱에서 서비스가 제공되나요?

     

    현재는 KB, 신한, 우리, 기업, 하나은행 등이 순차적으로 서비스 개통 중입니다.



    Q5. 앞으로 어떤 서비스가 더 추가될 예정인가요?

     

    자원봉사 외에도 기초생활 관련 서비스, 출산·육아 지원 서비스 등으로 확대될 계획입니다.

     

    국민의 편의를 최우선으로

     

    이번 민간앱 공공서비스 연동은 단순한 편의성 제공을 넘어서, 국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정부의 디지털 전환 전략의 일환입니다. 향후 더 많은 서비스가 민간 플랫폼과 연결되며, 공공서비스는 더 이상 멀리 있지 않게 될 것입니다.

     

    지금 바로 여러분이 자주 사용하는 앱에서 확인해보세요. ‘숨은 환급금’이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반응형